도시재생이란?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사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상/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해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을 말한다
- 지자체와
주민의 참여 - 주민이 원하는
도시기능의
활성화 - 지역기반의
일자리 창출 - 도시 경쟁력
회복 - 다시
지역사회에
기여
도시의 쇠퇴한 기능을 치유하고 회복시키는 일
도시재개발과 무엇이 다를까요?
- 도시재개발 방식 : 재건축, 뉴타운사업, 대규모 아파트 공급 → 원거주민 재정착률 저조, 주민 갈등 초래
- 도시재개발이란 무엇인가?
-
- 토지 건물 소유자 중심(개발 이익의 관심)
- 수익성 있는 토지
- 물리적 환경 정비(주택 또는 기반시설)
- 도시재생이란 무엇인가?
-
- 거주자 중심의 지역공동체(자력기반 확보 및 지역활성화에 관심
- 자력기반이 없어 공공의 자원이 필요한 쇠퇴지역
- 종합적 기능 개선 및 활성화(사회,경제,문화,물리환경 등)
도시의 성장 과정에서의 재생
- 성장 → 발전 → 쇠퇴의 단계 중 ‘재생’을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
- 1. 탄생
- 도시화 : 경제적 이익으로 일정 지역에 인구 집중
- 2. 성장
- 교외화 : 도시의 기능이 주변으로 확대
- 3. 쇠퇴
- 반도시화 : 높은 지가로 비 도시지역으로 인구 유출(공동화, 저성장)
- 4. 재생
- 지속가능한 도시
도시재생사업의 성공 키워드
- 주민참여
- 내가 원하는 도시를 직접 설계하라! 주민은 사업의 주체이자 파트너입니다.
- 지역특화
- 경쟁력! 차별화로 승부하라! 지역특화 핵심 콘텐츠를 발굴해야 합니다.
- 부처협업
- 저비용! 고효율! 부처간의 벽을 허물고 협력해야 합니다.
- 민관협력
- 공공은 지원! 민간은 투자! 민관협력 사업전략이 필요합니다.
도시재생성공모델
- 주민/상인협의체지역을 가장 장 이해하는 주민의 경험에서 도시재생의 실마리를 찾습니다.
- 사업추진협의회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모여 실행력을 가진 의사결정을 진행합니다.
- 용역 수행주체활성화계획 수립을 위한 기술적 지원 및 전문적 의견을 제시합니다.
- 사업총괄 코디네이터지역 내 추진되는 사업을 기획, 총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행정협의회도시재생 관련 사업을 총괄, 조정하며 관련 부처와 협력을 이끌어냅니다.
- 도시재생 지원센터다양한 주체들의 원활한 정보공유를 위한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