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재생이란?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사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상/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해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을 말한다

  • 지자체와
    주민의 참여
  • 주민이 원하는
    도시기능의
    활성화
  • 지역기반의
    일자리 창출
  • 도시 경쟁력
    회복
  • 다시
    지역사회에
    기여

도시의 쇠퇴한 기능을 치유하고 회복시키는 일

도시재개발과 무엇이 다를까요?
  • 도시재개발 방식 : 재건축, 뉴타운사업, 대규모 아파트 공급 → 원거주민 재정착률 저조, 주민 갈등 초래
도시재개발이란 무엇인가?
  • 토지 건물 소유자 중심(개발 이익의 관심)
  • 수익성 있는 토지
  • 물리적 환경 정비(주택 또는 기반시설)
도시재생이란 무엇인가?
  • 거주자 중심의 지역공동체(자력기반 확보 및 지역활성화에 관심
  • 자력기반이 없어 공공의 자원이 필요한 쇠퇴지역
  • 종합적 기능 개선 및 활성화(사회,경제,문화,물리환경 등)
도시의 성장 과정에서의 재생
  • 성장 → 발전 → 쇠퇴의 단계 중 ‘재생’을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

1.탄생 2.성장 3.쇠퇴 4.재생

1. 탄생
도시화 : 경제적 이익으로 일정 지역에 인구 집중
2. 성장
교외화 : 도시의 기능이 주변으로 확대
3. 쇠퇴
반도시화 : 높은 지가로 비 도시지역으로 인구 유출(공동화, 저성장)
4. 재생
지속가능한 도시
도시재생사업의 성공 키워드
주민참여
내가 원하는 도시를 직접 설계하라! 주민은 사업의 주체이자 파트너입니다.
지역특화
경쟁력! 차별화로 승부하라! 지역특화 핵심 콘텐츠를 발굴해야 합니다.
부처협업
저비용! 고효율! 부처간의 벽을 허물고 협력해야 합니다.
민관협력
공공은 지원! 민간은 투자! 민관협력 사업전략이 필요합니다.

도시재생성공모델

키워드

  • 주민/상인협의체지역을 가장 장 이해하는 주민의 경험에서 도시재생의 실마리를 찾습니다.
  • 사업추진협의회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모여 실행력을 가진 의사결정을 진행합니다.
  • 용역 수행주체활성화계획 수립을 위한 기술적 지원 및 전문적 의견을 제시합니다.
  • 사업총괄 코디네이터지역 내 추진되는 사업을 기획, 총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행정협의회도시재생 관련 사업을 총괄, 조정하며 관련 부처와 협력을 이끌어냅니다.
  • 도시재생 지원센터다양한 주체들의 원활한 정보공유를 위한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