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이 지방에서 대장간을 하던 충신 배순의 정려비이다. 광해군 7년(1615)에 정려되어 인조 27년(1649) 손자인 배종이 비석을 세웠고, 영조 31년(1755) 그의 칠대 외손인 임만유가 충신백성이란 말을 넣어 고쳐 세웠다.
배순은 천성이 유순하고 효성이 지극하며, 학문에도 힘써 퇴계 이황이 소수서원에서 유생에게 학문을 강론할 때 그도 글을 배웠다. 그 후 퇴계선생이 세상을 떠나자 삼년복을 입고 철상을 만들어 기리는 등 제자의 예를 다하였다. 배순이 죽자 군민들이 정려각을 세우고 이 마을을 배점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